분류 전체보기 73

02/09 미국 뉴욕증시 마감시황

DOW JONES 산업 NASDAQ 종합 S&P 500 31,385.76( ▲237.52) 13,987.64( ▲131.35) 3,915.59( ▲28.76) 2/8(현지시간) 뉴욕증시 상승, 다우(+0.76%)/나스닥(+0.95%)/S&P500(+0.74%) 경기 부양책 기대감 지속(+), 코로나19 백신 낙관론(+), 기업 실적 호조(+) ​ 이날 뉴욕증시는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된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낙관론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.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. ​ 미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. 지난주 의회에서 과반의 동의만 획득하면 되는 예산조정권을 사용해 부양법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예산결의안이 美 상원과 하원에서 가결..

02/09 국내선물 전일 마감시황

종합주가지수 KOSDAQ KOSPI 선물 200 2103 3,121.2( ▲29.96) 964.3( ▲3.52) 423.0( ▲4.5) - 코스피 시장 - ​ 2/8 KOSPI 3,091.24(-0.94%) 외국인 순매도(-), 애플카 협의 부인 속 현대차그룹주 동반 급락(-) ​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경기 부양책 기대감 지속 및 기업 실적 양호 등으로 상승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. 이날 코스피지수는 3,113.63(-7.00P, -0.22%)로 소폭 하락 출발. 장 초반 3,090선까지 하락한 후 약보합권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재차 낙폭을 키워 3,085.59(-35.04P, -1.12%)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.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여나갔고,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해 3,128.54..

02/09 해외선물 통화시장 분석자료

FX: 유로화, 지표 부진에도 달러 약세에 강보합 달러화는 바이든 정부의 추가 부양 정책이 의회에서 통과될 것이란 기 대감이 뉴욕증시 상승과 위험자산선호 심리를 자극하면서 하락 미국 예산 결의안 통과 이후 바이든 정부의 1.9조달러의 경기 부양 정 책의 상원 통과 가능성 증가. 상원 통과를 위해서는 2/3 이상의 찬성 표를 얻어야 하나 과반의 찬성만으로 법안 통과가 가능해짐에 따라 추 가 부양 정책의 처리 기대감이 보다 높아짐. 유로존에서 발표된 2월 센 틱스 투자자기대지수는 -0.2를 기록하며 예상보다 부진했지만 달러 약 세 영향에 유로화는 강세 NDF 달러/원 환율 1개월물은 1117.28원으로 3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하며 달러 약세 등을 반영해 소폭의 상승 흐름이 이어질 듯 ​ Commodit..

02/09 해외선물 해외마감시황 및 글로벌이슈

미국 증시  경기부양책 기대감으로 투자심리 개선되며 상승 마감  TLRY(+16.99%): 대마초 합법화 기대감 지속  MRO(+13.73%): 유가 상승으로 실적 개선 기대  TLRY(+1.57%): 장단기 금리차 확대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유럽 증시  미국 경기부양책 기대감으로 투자심리 개선되며 상승 마감 중국 증시  미국 경기부양책 기대감 및 코로나19 확산세 둔화에 상승 마감  편자황(+10.00%): 프리미엄 건강식, 약품 춘절 소비 기대감에 상승  진장호텔(+10.01%): 코로나19 확산세 완화에 여행섹터 전반 상승  이셴(-5.50%): 전일 상승에 따른 주가 조정 일본 증시  미국 경기부양책 기대감 및 긴급사태 해제 가능성에 상승 마감 ​ 바이든 대통령, 중국과 극한 ..

02/09 해외선물 해외파생 브리핑자료

뉴욕증시, 경제 회복 자신감에 강세 지속…3대 지수, 사상 최고 마감 - 뉴욕증시는 미국의 새로운 부양책에 따른 경제 회복 기대로 상승세를 지속 - 미 의회가 조만간 대규모 신규 부양책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산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가 한층 개선, 미 상원과 하원은 지난주 예산결의안을 가결했다. 이는 의회 과반의 동의만 구하면 되는 예산조정을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요청한 1조9천억 달러 부양책 도입을 가능 하게 하는 조치, 공화당이 동의하지 않아도 민주당 단독으로 부양책을 도입할 수 있는 셈이며, 민주당 주도의 하원 각 위원회는 새로운 부양책에 포함될 방안의 윤곽을 속속 공개하고 있으며, 항공사 직원 급여 보조를 위한 140억 달러 지원과 자녀세액공제 확대 방안 등이 포함 - 민주당이 추진하는 ..

02/08 미국 뉴욕증시 마감시황

DOW JONES 산업 NASDAQ 종합 S&P 500 31,148.24( ▲92.38) 13,856.3( ▲78.55) 3,886.83( ▲15.09) 2/5(현지시간) 뉴욕증시 상승, 다우(+0.30%)/나스닥(+0.57%)/S&P500(+0.39%) 경기 부양책 기대감 지속(+), 기업 실적 양호(+), 고용지표 부진(-) ​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의 고용지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,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된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상승. 특히, S&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. ​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1조9,000억 달러 규모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. 美 상원과 하원은 이날 예산결의안을 가결했음. 예산결의안은 의회에서 ..

02/08 국내선물 전일 마감시황

종합주가지수 KOSDAQ KOSPI 선물 200 2103 3,099.59( ▼-21.04) 959.58( ▼-7.84) 419.9( ▼-2.6) - 코스피 시장 - ​ 2/5 KOSPI 3,120.63(+1.07%) 외국인/기관 동반 순매수(+), 美 증시 강세(+), 반발 매수세 유입(+) ​ 밤사이 뉴욕증시가 실업 지표 호조 등에 큰 폭으로 상승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는 마리오 드라기 전 ECB 총재 이탈리아 총리 가능성 부각 등에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3,098.49(+10.94P, +0.35%)로 상승 출발. 장초반 상승폭을 확대해 3,125선 부근까지 올라서기도 했지만, 점차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전 중 하락 전환. 3,081.78(-5.77P, -0.19%)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..

02/08 해외선물 통화시장 분석자료

FX: 유로화, 예상보다 양호한 체감지표에 상승 달러화는 미국 부진한 고용지표가 바이든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에 대 한 기대를 강화시키면서 뉴욕증시 상승과 함께 위험자산 선호가 높아 지면서 약세 1월 미국 비농가 신규 고용은 4.9만 명 증가하며 지난 해 12월보다 늘 었지만 시장 예상치는 하회. 실업률은 6.3%로 하락했지만 경제활동참 가율이 하락하면서 내용 측면에서도 부진. 예상보다 부진한 고용 보고 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추가 부양 정책의 추진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 로 작용하며 금융시장 내 부양 기대감 확산 NDF 달러/원 환율 1개월물은 1117.86원으로 7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하며 달러 약세와 더불어 최근 상승에 따른 되돌림 과정 예상 ​ Commodity: 국제유가, 타이트한 수급 기대로..

02/08 해외선물 해외마감시황 및 글로벌이슈

미국 증시  1.9조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 기대감에 투자심리 개선되며 상승 마감  ATVI(+9.64%): 2020년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 SNAP(+9.14%): 2020년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 JNJ(+1.52%): 미국 FDA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 승인 신청 유럽 증시  미국 경기부양책 기대감에도 독일 경제지표 부진으로 혼조 마감 중국 증시  미중 갈등 고조 부각으로 투자심리 악화되며 하락 마감  콰이쇼우(160.87%): 2월 5일 상장 첫날 급등  중국면세(5.48%): 춘절 소비 기대감에 상승  중광자원(-10.01%): 차익실현 매물로 하한가 마감 일본 증시  미국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제회복 기대감으로 상승 마감 ​ 미국 하원, 1.9조달러 규모 부양책 예산..

02/08 해외선물 해외파생 브리핑자료

뉴욕증시, 美고용 실망에도 부양책 기대…다우, 0.3% 상승 마감 - 뉴욕증시는 미국 고용지표가 다소 부진했음에도 신규 부양책 기대로 상승 -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1조9천억 달러 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투자 심리를 지지 -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고용지표는 다소 실망, 비농업 부문 고용이 4만9천 명 증가했으며,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 5만 명 증가에 소폭 못 미침, 지난해 12월과 11월 신규고용 수치도 하향 조정, 기대보다 부진한 고용지표는 부양책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키우는 요인도 된다고 전문가들은 평가 - 기업의 실적이 양호한 점은 주가의 추가 상승 기대를 자극하는 요인, 이미 실적을 발표한 S&P500 지수 포함 기업들의 약 84%가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순익을 기록한 것으로..